본문 바로가기
잡담/넓고 얕은 지식

도쿄의 GDP는 한국만 한가?

by 킴익명 2021. 10. 18.
반응형

 

예전에 언젠가 이런그림을 본 적이 있다.

그리고, 간간히 도쿄 GDP가 한국보다 높다니깐! 하는 글들이 올라온다. 그래서 한번 찾아봤다.

 

먼저 짚고 넘어가야할 용어들이 있다.

 

GDP는 국내총생산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대한민국의 GDP라고 하면, 대한민국 국토 내에서 발생하는 부가가치의 총합이다.

여기서 말하는 도쿄는 도쿄도를 포함한 광역생활권(수도권)을 가르킨다.

 

 

※ 주의 : 필자가 본 문서를 작성하며 정치적인 의도를 내포할 마음이 전혀 없으며, 댓글을 통해 분쟁 또는 소요사태가 일어날 시, 뭐 어쩌겠는가. 그냥 독자들에게 그러한 류의 내용의 댓글은 지양해달라고 말하려고 어그로 조금 끌어보았다.

 

자 진짜 들어간다

 

레츠고

 

위에서 용어정리를 하고 내려온 이유는 간단하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도쿄는 통상적으로는 도쿄도 내의 23개의 자치구를 뜻하는 경우가 많고, 조금 넓게 보자면 도쿄도를 가르키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경제적인 생활권, 즉 수도권을 본다면 내용은 사뭇 달라진다.

그림의 왼쪽부터 반시계방향으로, 야마나시 현, 가나가와 현, 치바 현, 이바라키 현, 도치기 현, 군마 현, 사이타마현, 도쿄도이다(뭔가 고래? 군함? 같이 생긴 바다랑 가깝고 중간즈음에 있는게 도쿄도)

 

일본의 수도권은 한국의 수도권의 면적인 약 12㎢보다 3배가량 36,897.96㎢이다. 물론 군마야 도치기 쪽으로 가면, 우리나라로 비유하자면 춘천 같은 느낌으로 평지나 인프라가 발달되어서 도쿄와 연결되어 있는 아니기 때문에, 그보다는 조금 작은 광역권(규모는 13,565.13)이란 말을 많이 사용하긴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도권이라 칭해지는 이유는 아마도

이런 거대한 지하철 노선도가 한 몫 했지 않나 싶다.

 

물론 규모만 거대한 것이 아니라, 거기서 나오는 GDP 또한 거대하다.

가급적이면, 최신자료를 사용하고 싶었지만, 구글링 능력으로는 최신자료가 안나오는 한계치와 마주함.

 

일해라 브루킹스 연구소!

 

 

위 그림은 미국 브루킹스 연구소에서 조사한 글로벌 도시(광역도시권) GDP에 따르면 1위는 일본 수도권이며 2위가 뉴욕 도시권이였으며, 3위가 LA 도시권, 그리고 한국의 수도권(경인지역) 또한 4위 규모로 작지 않은 규모이다.

 

하지만 GDP를 기준으로 본다면, 일본의 수도권이 압살한다.

2014년 기준으로 총 1 6167억 달러 이였으며, 2위인 뉴욕은 1 2100억 달러 규모를 기록했다.

 

16167억 달러인 일본 수도권과 그럼 2014년 당시의 한국 GDP를 비교해보자

 

구글에 검색해본 결과 한국의 2014GDP

1484억 달러를 기록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 결론이 뭐냐

일본 버블이 붕괴되고 중국이 부상하고 어쩌고 저쩌고 하지만, 썩어도 준치란 점이다.

 

반응형

댓글


"); wcs_do();